-
언어치료 사례관찰 보고서 작성법언어치료 2024. 11. 9. 23:15
사례관찰 보고서는 기록자 및 날짜, 기록, 대상자의 진단명, 의사소통 특성, 진단 치료 특성, 배운 점 및 느낀 점, 감독자의 코멘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기본 정보
관찰자에는 치료 대상자나 임상감독자가 아니라 관찰하는 학생의 이름과 관찰기관을 씁니다. 관찰 시간에는 관찰한 날짜와 시간을 정확하게 기입합니다. 비디오 관찰일 때는 치료를 녹화한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임상감독자에게 확인받은 후 기록합니다.
2. 진단 또는 치료(진단명)
관찰한 회기가 평가인지 치료인지 반드시 표시합니다. 진단명은 뇌졸중, 지적장애, 청각장애와 같은 의학적 진단명이나 장애명이 아니라 '실어증' '뇌성마비를 동반한 언어발달장애' 또는 ' 청각장애를 동반한 언어발달장애' '단순언어장애' 라고 언어적 진단명을 씁니다. 진단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앞으로 진단을 해서 이 진단을 선택할지 배제할지를 결정하라는 의미의 R/O ( rule out) 를 언어 진단명 앞에 붙여 쓰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 R/O 단순언어장애' 라고 씁니다. 또한 영어 약자 표현인 TBI (traumatic brain injury : 외상성 뇌손상), CP (cerebral palsy 뇌성마비, 혹은 cleft palate 구개열), SLI (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단순언어장애) , VPI (velopharyngeal incompetency 연인두 폐쇄부전) 를 임상감독자가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모르는 영어 약자라면 임상감독자에게 물어서 확인을 합니다. 기록할 때에는 영어 약자로 쓰지 않고 전체 이름을 씁니다.
비어 있는 곳에 배경 정보를 간단하게 서너 줄로 기록합니다. 임상감독자가 배경 정보를 " 부모 보고에 의하면 ~ 라고 한다." 라고 알려 줄 것입니다. 가족이나 다른 의뢰처에서 수집한 정보라면 누구에 의한 보고인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므로 잊지 않고 처음부터 "어머니 보고에 의하면 ~라고 한다." 라고 적는 습관을 들입니다.
언어 문제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기술합니다. 그리고 대상자의 발달력, 언어장애의 원인이라고 보고된 정보, 의학력, 교육력을 씁니다. 발달력은 대상자가 아동일 경우에 쓰고, 성인은 현재 언어 문제와 관련된 병력에 대하여 씁니다. 대상자가 이전에 받은 언어치료력이나 현재 받고 있는 언어치료 기관과 치료 기간도 기록합니다.
3. 관찰 대상인의 의사소통 특성
대상자의 언어와 의사소통 능력을 의사소통 영역별로 기술합니다. 특이한 사항이 없는 영역은 " 음성과 유창성 영역에서 회기 동안 특이한 점이 관찰되지 않았다."라고 기술합니다. 조음에서는 주요 오류 말소리, 오류 형태, 말 명료도를 기술합니다. 주로 아동이 보이는 언어 산출 및 이해 수준을 기능과 형식으로 서술합니다. 예를 들면, "언어 표현은 복문을 산출하였으나 '-서' '-가지고' 와 같은 일부 연결어미만을 사용하였다" 라고 씁니다. 화용 또는 의사소통 기능은 낮은 수준에서는 초기 의사소통 기술인 모방, 행동 요구, 공동 주목과 같은 기능을 살펴 기술하고, 높은 수준에서는 주제 운용과 관련된 기술에 대해 간단히 씁니다.
주의할 점은 치료 시간에 언어치료사가 한 말이나 아동이 한두번 보인 언어 행동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예를 들면, "언어치료사가 인형을 들자 아동은 바라보지 않고 '어거거' 라고 말하였다. " "창문, 자동차, 그릇이라고 이름을 말했다." 등은 아동의 부분적인 언어 행동이나 치료 특성에 써야 할 부분으로 전반적인 의사소통 특성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의사소통 특성을 읽으면 그 대상자가 다른 사람과 어떻게 의사소통을 하는지 바로 상상할 수 있을 정도로 대표할 수 있는 특성을 간략하게 써야 합니다.
또, 주의할 점은 "애기 목소리 같다." 와 같이 비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한 상식적인 기술은 피해야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음도가 높고 과대비성이 있다. " 라고 쓸 수 있습니다.
4. 진단/치료 특성
관찰한 회기가 진단인지 치료인지 반드시 표시합니다. 언어치료 실습학생이 초기에 많이 하는 실수는 치료에 사용한 자요나 활동을 먼저 쓰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그림카드 보기' '세탁기 놀이' '자장면 주문하기' 등이 있습니다. 먼저 임상감독자의 설명을 듣거나 언어치료의 흐름을 살펴보며 발견한 언어 목표를 쓴 후에 절차와 아동의 반응을 기록합니다. 언어 목표의 예로는 "어말종성 / ㄱ / 이 포함된 낱말을 정조음한다." 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동의 반응은 객관적인 것과 주관적인 분석 결과를 모두 씁니다. 앞의 목표에 대한 객관적인 반응으로는 '10개 낱말에서 5개 정조음' 이라고 기록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목표 언어 형태의 예를 쓰는 것도 좋습니다. 객관적인 결과와 주관적인 분석을 쓴 예로는 "아동이 여러 번 반복하자 10개 중 7개를 바르게 조음했으나 '박쥐' '학교' 를 어려워하였다." 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설명문으로 쓰기 보다는 관찰 보고서 예에 제시된 것처럼 언어 목표 및 활동에 따라 단락을 나누거나 번호를 붙여서 되도록 짧은 문장으로 기록합니다. 의사소통특성에서 쓴 것을 진단 및 치료 특성에 반복해서 쓰지 않도록 합니다.
5. 배운 점 및 느낀 점
검사나 치료를 관찰하면서 언어치료 실습학생의 입장에 대해서 새롭게 배운 점과 느낀 점을 씁니다. 처음 관찰하는 학생은 느낀 점을 위주로 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예로 "아동이 자연스러운 상황에서는 아직 낱말을 다르게 발음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좀더 일반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아동이 다른 사람의 말소리에 집중을 하지 않는 듯 보였다." 가 있을 수 있습니다.
느낀 점을 쓸 때는 임상 과정이나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것을 써야 합니다. 언어치료사의 능력을 평가하는 말이나 관련없는 말은 쓰지 않도록 합니다.
'언어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임상실습의 과정(2) - 언어 진단 및 평가 (0) 2024.11.11 언어임상실습의 과정 (1) (1) 2024.11.10 언어임상관찰 유형 (0) 2024.11.08 언어임상관찰 (3) (2) 2024.11.07 언어임상관찰 (2) (0) 2024.11.07